반응형

AI가 일상에 들어온 지 꽤 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이 헷갈려 한다.
“NotebookLM이 챗GPT랑 뭐가 다르지?”
“나는 어떤 걸 쓰는 게 더 효율적일까?”
이런 고민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두 도구는 겉으로 보기엔 비슷하다.
둘 다 질문하면 대답해주고, 요약도 해주고, 글도 써주니까.
하지만 실제로 써보면, 용도부터 강점까지 전혀 다르다.

둘 다 AI인데, 뭐가 다를까?
먼저 가장 큰 차이는 “정보의 출처”이다.
NotebookLM은 내가 올린 문서, 즉 내가 제공한 자료만 바탕으로 답을 한다.
예를 들어, 보고서 PDF, 기사, 수업자료 등을 올려두면 그걸 분석해서 요약해주고, 그 안에서만 정보를 뽑아준다.
쉽게 말하면 ‘나만의 AI 리서처’인 셈이다.
이건 챗GPT랑 아주 다르다.
반면 챗GPT는 전 세계의 인터넷과 책, 위키백과 등을 기반으로
이미 학습해둔 지식으로 대화를 한다.
그래서 내가 아무것도 안 올려도 바로 대화가 가능하고, 넓은 범위의 질문에도 대답할 수 있다.
정보의 범위는 넓지만, 때때로 내가 원하는 핵심에서 벗어나거나
정확한 문서 기반 요약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요약하자면, 이렇게 다르다
NotebookLM은 요약, 정리, 분석에 특화되어 있다.
무엇보다 ‘정확한 문서 기반 정리’가 필요할 때 강력하다.
예를 들어 학생 리포트, 수업자료, 논문, 기사, 회의록처럼 구체적인 문서가 있을 때
그 안에서 핵심만 뽑아주는 역할을 톡톡히 한다.
반면 챗GPT는 창의적인 작업, 넓은 주제 탐색, 상호 대화에 강하다.
아이디어를 내야 한다든지, 블로그 제목을 뽑는다든지, 영어 문장을 첨삭해달라든지
이런 창의적이고 언어 중심적인 일에서는 단연 챗GPT가 우세하다.

교사 입장에서 보면 어떤가?
영어 교사로서 두 도구를 함께 써보니 느낌이 확실히 달랐다.
NotebookLM은 수업 자료 정리용으로 최고이다.
예를 들어 교과서 리딩 지문을 올리고 나서 “요약해줘”, “핵심 단어 정리해줘”,
“이 지문으로 문제 3개 만들어줘”라고 하면
매우 빠르게 정확한 내용으로 정리된다.
심지어 학생이 쓴 작문을 올려두고 “논리 흐름이 자연스러운가?”라고 물어보면
중심 내용과 어긋난 문장까지 콕 집어준다.
반면 챗GPT는 회화 연습이나 아이디어 도출에 강하다.
“중2 수준에 맞는 영어 놀이 수업 아이디어 뭐 있을까?”
“감정을 표현하는 영어 문장 10개 알려줘”
이런 질문은 챗GPT가 훨씬 더 다양하고 창의적인 답변을 준다.
또한, 학생 입장에서도 챗GPT는 에세이 초안 작성이나
단어 설명, 문장 교정 등에 아주 유용하다.
반면 NotebookLM은 독서 활동에서 특정 책의 요점을 정리하거나,
리포트 자료를 읽고 발표 준비를 할 때 좋다.

상황에 따라 쓰는 게 정답이다
이 두 AI 중 누가 더 좋은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
상황에 따라 쓰는 게 정답이다.
자료가 많은 상황이라면 NotebookLM이 답이다.
문서를 정확하게 요약해주고, 질문에 근거 있는 답을 해준다.
특히 교육, 리서치, 정리 업무에는 정말 유용하다.

반대로 자료가 없는 상황, 혹은 아이디어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챗GPT가 훨씬 더 유연하게 반응한다.
블로그 글 초안, 수업 아이디어, 이메일 문장 추천까지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영어 수업에서 둘 다 이렇게 쓸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영어 수업에선 이렇게 나눠 쓸 수 있다.
NotebookLM은
- 리딩 지문 요약
- 영어 문법 정리
- 학생 과제 피드백
- 수업 발표 스크립트 정리
- 독서 활동 주제 정리
이런 식으로 자료 기반 수업 도우미로 활용된다.
챗GPT는
말하기 연습 (대화문 만들어달라 요청)
작문 첨삭
문법 질문
문장 표현 다양화
수업 콘텐츠 아이디어 제안
이런 식으로 수업의 확장 도구로 적합하다.

결론: 경쟁자가 아닌, ‘팀’이다
NotebookLM과 챗GPT는 경쟁 관계가 아니다.
둘은 함께 쓸 때 진짜 빛을 발한다.
NotebookLM이 정리해주고, 챗GPT가 그 정리를 바탕으로 새로운 걸 만든다.
하나는 정보를 모으고, 다른 하나는 정보를 확장시킨다.
교사든, 학생이든,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이든
둘 중 하나만 고집하기보다는, 필요에 따라 번갈아 쓰는 방식이 가장 효율적이다.
그게 진짜 스마트하게 AI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반응형
'에듀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로 더 깊어진 영어 독서 수업: NotebookLM 리딩 활동 적용기 (0) | 2025.07.05 |
---|---|
AI와 함께한 영어 수업: NotebookLM 실제 적용 후기 (0) | 2025.07.05 |
구글 NotebookLM 사용법 정리: 영어 수업에도 활용 가능한 AI 노트 정리 도구 (0) | 2025.07.05 |
튜토리얼 영상 만들기 (0) | 2024.01.23 |
URL 링크 줄이기 (0) | 2024.01.23 |
댓글